본문 바로가기

정보/트렌드

바닷물로 농사 짓고 우주서 태양광 발전… SF가 아닙니다

2008년 5월 30일 조선일보
 
"아프리카 해안가에 바닷물로 자랄 수 있는 식물 숲을 만들고, 전기를 우주에서 생산하고, 공장 굴뚝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액체로 만들어 지하에 묻는 것. 이 모든 일이 공상소설이 아닙니다. 현재 세계 각국 정부가 연구 중인 프로젝트입니다."

유엔 싱크탱크 '유엔미래포럼'의 회장이자 세계적 미래학자인 제롬 글렌(Glenn) 씨가 지난 26일 환경재단 기후변화센터와 서울과학종합대학원이 개설한 '기후 변화 리더십과정'에서 '기후 변화가 바꾸는 21세기'란 주제로 강연했다. 그는 9가지의 기후 변화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허무맹랑한 이야기가 아니라 지금 이 시간 세계 각국이 수백억 달러를 들여 집중 투자 중인 분야들이다. 그는 "중요하지만 일반인들이 잘 모르는 전략 위주로 선정했다"고 말했다.
 

1. 바다 농업(sea water agriculture)

바닷물처럼 소금이 함유된 짠물에서 살 수 있는 식물은 1만종에 달한다. 과학자들은 이중 100여종의 식물을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지를 테스트 중이다. 사막이 넓게 펼쳐져 있는 아프리카 해안가에 바닷물이 흐르는 관개수로를 만들고 이들 식물을 심는다고 생각해보자. 이들 식물을 수확해서 바이오연료나 종이를 만드는 펄프로 사용할 수 있다. 동물 사료 등 식용으로도 쓸 수 있다.

이 계획이 성공한다면 육지에서 사용하는 물의 양을 줄여 만성적인 물 부족도 해결할 수 있다. 사막을 낀 아프리카 등지의 가난한 나라에도 새로운 수입원이 될 것이다.

2.탄소 격리(carbon sequestration)

재생 에너지가 현재의 화석 연료를 대체하기에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발전소 굴뚝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액체 상태로 만들어 땅속이나 바다 밑에 묻는 '탄소 격리'가 주목을 받고 있다. 아직 걸음마 단계지만 미국, 일본, 노르웨이 등 세계 각국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는 분야다. 미국 에너지부에 따르면, 탄소 격리 기술은 현재 가장 빠르게 발전하는 연구 분야 중 하나다.

3.저가의 전기자동차 배터리(low cost electric car batteries)

'썬더 스카이(Thunder Sky)'라는 중국의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사의 공장이 올 하반기 핀란드에 추가로 세워지면 유럽과 북미에서 사용하는 전기 배터리 가격이 상당히 떨어질 것이다. 이미 중국 버스 회사들은 이 회사와 장기 계약을 맺었다. 올해 10만개, 2010년까지 20만개를 구입할 것으로 보인다.

개인적으로 하이브리드(내연 엔진과 배터리 엔진을 동시에 장착한 복수 동력) 카를 지금 사는 것보다 유지비가 싼 전기자동차가 나올 때까지 기다리겠다. 2~3년 후면 괜찮은 전기자동차가 나올 것이다. 한 번 자동차를 사면 15년은 탈 생각이다.

4.우주 태양광 발전(solar power satellites)

수 ㎞ 길이의 태양 전지판을 단 위성을 지구 상공 궤도에 띄우는 것을 말한다. 이 위성은 지구와 같은 속도로 돌아 늘 같은 위치에 있다. 이 상공에서 태양빛을 받아 전기를 생산하고 무선으로 지구에 전송한다. 이 부문에서 가장 앞선 나라는 일본이다. 일본은 탁월한 선택을 했다.
 
5.보다 진전된 지열 발전(enhanced geothermal)

석유 개발 과정에서 지하 5㎞를 파 내려가는 일은 흔한 일이다. 이 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지열(地熱) 발전 방식이 있다.

먼저 두 개의 구멍을 뚫고 각각 지하 2~3㎞로 파 내려간 뒤 두 구멍의 바닥을 서로 연결시킨다. 그 뒤 한 쪽 구멍에 물을 집어넣으면 바로 옆의 구멍으로 수증기가 분출돼 나온다. 지열 때문이다. 그 수증기가 나오는 구멍에 발전용 터빈을 설치하면 된다. 지열 발전의 장점은 환경 오염과 상관없이 24시간 가동된다는 점이다. 이미 MIT에서 초기 실험을 성공리에 마쳤다.

6.동물성 단백질 합성(animal protein without animals)

소, 돼지, 닭의 탯줄 혈액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를 배양해서 동물성 단백질을 얻는 것을 말한다. 이 단백질은 소, 돼지고기와 다를 바 없다. 그러면 엄청난 변화가 일어난다. 소, 돼지를 키우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물, 사료, 분뇨 등이 사라진다. 지구온난화를 방지하는 묘책이 되는 것이다. 네덜란드에서 상당히 진척된 산업이다.

7.도시 생태계의 시스템화(urban systems ecology)

요즘 대학에서 새롭게 뜨는 연구 분야다. 도시를 하나의 생태계로 보고 이산화탄소 배출이나 에너지 효율 등을 총괄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선 유비쿼터스 컴퓨팅(언제 어디서나 컴퓨터에 접근할 수 있는 세계), 나노테크놀로지 등이 좀 더 발전해야 한다. 이들 기술은 신경세포가 인체 구석구석 흐름을 감지해 내는 것처럼 빌딩, 아파트 등 도시 구석구석의 에너지 흐름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8.미국과 중국의 공동전략(US-China global energy strategy)

전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따져보면 미국중국이 차지하는 비율이 전체의 40%에 이른다. 즉 두 국가 없이는 이산화탄소 배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것이다. 반면 유럽연합이 전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0%에 불과하다. 따라서 유럽, 호주, 한국 등 전세계가 미국중국에 대해 압력을 가하지 않으면 안된다.

9.기후변화에 대응한 전세계 집단지성(a global collective intelligence for climate change)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위키피디아(Wikipedia)처럼 전세계 지성(知性)이 한데 모여야 한다. 유엔에서도 기후변화 상황실을 만들어야 한다. (글렌 회장은 지난 3월 유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유엔 기후변화 상황실을 설치할 것을 제안하며 국가간 협력을 촉구했다.)



☞제롬 글렌 유엔 미래포럼회장은

1996년 유엔 후원 아래 '밀레니엄 프로젝트'를 설립, 미래 사회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연구를 수행해 온 미래학자다. 특히 글렌 회장이 책임지고 매년 펴내는 '유엔 미래보고서(State of the Future)'는 미래 연구에 관한 가장 권위 있는 보고서로 평가 받는다. 미국 중앙정보국이 발간한 'CIA 2020보고서' 등 세계 각국의 미래보고서 작성에도 참여했다.
 
입력 : 2008.05.30 13:21 / 수정 : 2008.05.30 18:49